어느덧 2024년 첫 달이 지났다.
2024년을 앞두고 연간 계획을 짠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이 끝났다니...😮
지나간 1월을 한 줄로 요약하면 감정적으로 변화가 컸던 시기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반복되는 서탈에 이대론 안 되겠다 싶어 아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D님께 커피챗을 요청했다.
커피챗 중 개인 프로젝트 개선에 대한 조언을 들었고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
내가 참여중인 개발 오픈 카톡방 몇 곳에 피드백을 요청했고, 그 피드백을 가지고 개선을 시도했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너무 잘한 선택이었다.
단순한 테스트 사이트인데도 개선을 진행하며 정말 많은 걸 배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배운 내용들은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블로그에 세세하게 기록했고, 이 과정을 통해 확실하게 학습할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 개인 프로젝트 개선기록 보러 가기
https://hotdogdev.tistory.com/83
개인 프로젝트 개선 기록
작년 하반기에 개인프로젝트로 진행했던 테스트 사이트의 개선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사실 처음에는 리액트를 공부할 겸 만들어본 간단한 프로젝트라 지인들에게만 살짝 보여주고 덮어뒀었
hotdogdev.tistory.com
면접스터디는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1월 초부턴 리액트를 다시 리액트를 다루고 있는데 욕심내서 깊이 있게 보려고 하니 시간이 정말 오래 걸린다.
공식문서, 블로그, 깃허브 레포지토리 뒤져보기
집착하는 사람처럼 다 뒤져보면 안 나오는 개념이 없어서 매번 놀라는 중..😮
이해가 안 되면 이해가 될 때까지 계속 파고들어 보려고 하는데 이게 맞는 방향인진 모르겠다.
(그렇다고 해서 모두 이해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
얼마 전 스터디 주제로 리액트 포탈을 다룰 일이 있었다.
면접 답변을 위해 개념 정도만 살짝 익히고 준비할 수도 있겠지만...
경험상 이런 식으로 개념만 익히면 나중에 아예 까먹어버리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서 익히는 게 낫겠다고 판단했다.
직접 사용해 보고 공을 들여야 진짜 내 지식이 된다고 생각했고,
이런 이유로 직접 구현과 테스트를 진행해 보고 관련 내용을 최대한 상세하게 기록했다.
💫 포탈 포스팅 보러가기
https://hotdogdev.tistory.com/85
[React] Portal이란?(w. 모달 구현)
최근 면접스터디를 준비하면서 리액트의 Portal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었다. 백문이불여일타라고...🧐 설명을 여러번 보는 것보단 직접 구현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 직접 시도해 봤다! 이
hotdogdev.tistory.com
수학 공부할 때 책만 읽지 않고 많은 문제를 직접 풀어봐야 하듯이
개발도 개념만 눈으로 읽어서 되는 게 아니라 직접 적용해 보고 테스트해보고, 비교해 봐야 진짜 내 지식이 되는 것 같다.
앞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이런 방식으로 공부해 나갈 생각이다.
커피챗을 통해 받은 피드백을 기반으로 이력서를 싹 뜯어고쳤다.
노션으로 만들었던 이력서를 피그마로 변경했고 포맷도 많이 바꿨다.
그리고 최대한 가독성 좋게 수정했다. (내 눈에만..가독성이 좋을 수도 있음 😅)
소개 부분의 내용도 아예 바꿨다.
이전엔 프론트엔드개발자에게 어울리는 소개를 찾아서 넣었다면, 이번엔 진짜 나에 대한 내용을 소개에 넣었다.
어느 정도 수정을 거친 후 다시 열심히 지원하고 있다.
두드리면 언젠간 될 것이라는 마음으로..!
운동에 대한 의욕이 떨어졌다.(주 2회는 꼭 운동을 하긴 했지만...)
이놈의 완벽주의 성향은 운동까지 영향을 미친다.
헬스장에 갔으면 워밍업 10분 웨이트 1시간 유산소 40분 도합 두 시간은 채워야 제대로 된 운동이라는 바보 같은 생각 때문에 시간이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차일피일 미뤘다.
이런 이유로 헬스장에 많이 못 갔다.
잘못된 걸 알지만 마음을 고쳐먹기가 힘들었다.
여유가 없어지니 운동을 하는 시간도 사치라는 생각이 들었고, 헬스장 가서 소비해야 할 시간에 다른 걸 해야할 것 같았다.
하지만 얼마 전 지인에게 공유받은 동영상을 보고 마인드셋을 다시 해야겠다고 느꼈다.
영상 내용을 대충 공유하자면,
목표를 작게 잡아야 오래 지속할 수 있고,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인데..
나 같은 게으른 완벽주의자에게 딱 맞는 조언이었다.
헬스장에 가서
무조건 두 시간 이상 운동하고 오겠어 ❌
유산소 30분만이라도 가볍게 타고 오겠어 ⭕
헬스장까지 가는 것조차도! 유산소 운동이긴 하니까 너무 부담 갖지 않기로 했다!
사실 1월 중순 전까지 전반적으로 의욕이 떨어진 상황이었다.
모든 취준생이 그렇듯 자신감도 떨어지고, 자꾸만 나를 의심하고 불안감만 커져갔다. 😥
그럼에도 해야 할 일들은 묵묵히 이어갔지만…돌이켜보면 억지로 이어갔다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런 침울한 시기가 이어지는 걸 몹시 싫어하기 때문에(오랜 기간 땅굴을 파봤자 득이 될 게 없다는 걸 잘 안다.)
이런 시기를 박차고 나오기 위해 스스로에게 동기부여할 만할 거리들을 주는데, 이번엔 그게 D님과의 커피챗이었다.
커피챗을 통해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어디를 더 채우면 좋을지에 대한 피드백과 격려를 많이 받았다.
이걸 계기로 개인프로젝트 개선을 진행하게 되었고, 덕분에 집 나간 의욕을 되찾을 수 있었다.
늦은 시간까지 커피챗을 진행해 주신 D님께 정말 감사하다...🥰💛
힘들어도 해야 할 일은 묵묵히 해낸 것
잠깐 무기력했지만 그래도 나름 방법을 찾아 다시 한번 동기부여를 얻은 것
개인프로젝트 피드백 요청을 위해 용기 낸 것
이런저런 핑계로 헬스장을 자주 못 간 것
힘들다는 이유로 고양이에게 소홀했던 것 😞
한 가지에 몰입하느라 시간 분배를 잘 못한 것
(특히 리액트 개념, 원리 이해하겠다고 과몰입해서 계획한 걸 종종 놓침)
→ 앞으로 시간을 정해두고 공부를 해야겠다고 느꼈다.
✅ 부담감 내려놓고 운동 꾸준히 하기(주 3회 이상 목표로)
✅ 지원 & 면접준비 꾸준히
✅ 개인 프로젝트 성능 개선 이어서 진행하기
✅ 리액트 관련 포스팅 하기(세 개 이상)
어느 날 우연히 본 '헤맨 만큼 내 땅'이라는 문구가 가슴에 콱 박혔다.
(유독 그날이 힘들었던 날이라 그랬을까? 😅)
나는 지금 헤매고 있다.
그리고 이왕 헤매는 김에 가고 싶은 길이 있으면 주저하지 않고 도전하고 싶다.
그 덕분에 헤매는 시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값진 경험을 얻고 있으며, 이걸 통해 성장하고 있음을 믿는다.
다가오는 2월도 열심히 헤매보자 아자잣! 💪🏻💪🏻
[월간회고] 2024년 2월 - 하면 된다 (0) | 2024.03.04 |
---|---|
2년동안 회고를 쓰며 배운 점과 회고 작성법 (0) | 2024.02.19 |
[연간회고] 2023년 회고 - 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 (0) | 2024.01.08 |
[월간회고] 2023년 10,11월 -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1) | 2023.12.18 |
[프로젝트 회고] 테오의 스프린트 16기 - 혼잡행 (2) | 2023.10.25 |
댓글 영역